반응형
논리형 - boolean
- boolean형 변수에는 true와 false 중 하나만 저장 가능
- 기본값(default)는 false
boolean power = true;
문자형 - char
- char타입 변수는 단 하나의 문자만 저장 가능
- 문자가 저장되는것 같지만 사실은 문자가 아닌 문자의 유니코드(정수)를 저장(숫자로 변환하여 저장)
- 문자 유니코드는 아스키 코드표를 통해 확인 가능
char ch = 'A';
char ch = 65; // 문자의 코드를 직접 변수에 저장
int code = (int)ch; // int 타입으로 변환
특수한 문자 표현
특수 문자(이스케이프 시퀀스) | 문자 표현법 |
tab | \t |
backspace | \b |
form feed | \f |
new line | \n |
carriage return | \r |
역슬래쉬(\) | \\ |
작은따옴표 | \' |
큰따옴표 | \" |
유니코드(16진수) | \u유니코드 |
정수형 - byte, short, int, long
- byte(1) > short(2) > int(4) > long(8) -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2배씩 증가
- 일반적으로 int를 많이 사용(효율적)
- int의 범위를 넘어서는 수를 다뤄야 할때는 long 사용
- 저장공간을 절약해야 한다면 byte나 short 사용이 유리
- 표현범위가 넘었을때(오버플로우 - overflow) 오류는 발생하지 않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.
실수형 - float, double
- float는 7자리 정밀도, double은 15자리 정밀도
- 만약 7자리 이상의 정밀도가 필요하다면 double 사용
- 표현범위가 넘었을때(오버플로우 - overflow) 값은 무한대가 된다.
타입에 따른 기본값 & 표현 범위
반응형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산자(orperator) (1) | 2021.09.11 |
---|---|
형변환(Casting) (0) | 2021.09.11 |
변수의 타입 (0) | 2021.09.11 |
변수의 명명규칙 (0) | 2021.09.11 |
JVM(Java Virtual Machine) (0) | 2021.09.11 |